퀀트/금융

금융 기본 지식 | 8. 채권, 채권 수익

만 기 2023. 3. 1. 11:50

채권 (bond)

채권의 현금 흐름

투자자 = 채권자 ——투자(원금)——> 발행자 = 채무자

(빌려준 사람)     <——이자+원금—— (빌린 사람)

 

발행자

각국 정부(국채), 지방정부(지방채), 공공기관, 기업(회사채) 등 다양

 

원금(액면금액 : par value)

채무자가 만기에 상환하여야 할 금액

 

이자(표면이자율 : coupon rate)

원금 x 이자율(연율)의 금액을 매년(매반기 또는 매분기) 지급

이자율의 단위 : 1bp(basis point) = 0.01%

 

만기(상환일 : maturity)

투자 기간

 

 

채권의 수익

  1. 일정기간 발생하는 이자 수입
  2. 채권 매입가격과 상환액(액면가)의 차이
    • 채권은 만기까지 받을 금액이 확정되어 있는 상품이므로 낮은 가격에 매입할수록 이익이다.

 

 

채권의 수익률

만기수익률 (YTM : Yield To Maturity)

= 채권 금리, 채권 수익률, 이자율 (!! 표면금리(coupon rate)와 다름 주의 !!)

(채권 수익률에는 여러 개념이 있지만, 별도 설명이 없다면 만기수익률을 의미한다.)

 

만기 수익률 :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했을때, 채권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채권가격과 일치시켜주는 수익률.

지급 이자(표면)만기상환액(액면가)의 현재가치채권(매입)가격과 일치시켜주는 할인율.

 

위에서 (1)채권수익률 식에서 이자와 액면가는 불변이므로 채권가격이 상승(하락)하면 수익률이 하락(상승)하는 것을 알 수 있다. ⇒ 반비례

⇒ 채권금리가 오르면, 신규투자자는 미래이득(싸게살수있음), 기전투자자는 평가손실.

 

위에서 (1)채권수익률 식을 채권가격에 대해서 풀고 만기상환까지 계산한다면 아래 식이 된다.

 

현물이자율 (Spot rate)

만기 전에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무이표채 또는 할인채에 적용되는 만기수익률 (=할인채수익률)

⇒이표가 없는 채권은 만기수익률과 현물이자율이 동일하다. (채권의 평가에 일반적으로 사용됨)

 

예로 액면 10,000원, 만기 3년, 표면이자율 5%, 매년말 이자를 지급하는 이표채가 있다면,

이표채 채권 가격 = 500/(1+YTM) + 500/(1+YTM)^2 + 10,500/(1+YTM)^3

이를 할인채수익률로 계산하면,

만기 1년 액면가 500원 할인채 + 만기 2년 액면가 500원 할인채 + 만기 3년 액면가 10,500원 할인채

로 계산할 수 있다.

 

내재선도이자율 (Implied Forward Rate)

만기별 현물이자율의 관계에서 도출되는 미래기대이자율

 

예로 만기 1년 현물이자율 4%, 만기 2년 현물이자율 5%, 만기 3년 현물이자율 6% 일때,

1년후 만기1년의 이자율 F는 (1+5%)^2 = (1+4%) x (1+F)

2년후 만기1년의 이자율 F는 (1+6%)^3 = (1+5%)^2 x (1+F)

 

 

참조 : https://eiec.kdi.re.kr/material/clickView.do?click_yymm=201512&cidx=1670 

 

채권수익률과 가격결정 | click 경제교육 | KDI 경제정보센터

지난 뉴스 한 토막, 유로존 재정위기 여파가 그리스를 넘어 이탈리아까지 위협하고 있다. 이탈리아의 10년물 국채금리가 7.4%를 넘어 위험수준에 이르렀다.는 기사가 눈에 띈다. 채권은 무엇이고

eiec.kdi.re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