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의 상대가치평가
가치(values) vs 가격(price)
가치 | 가격 | |
의미 | 사용가치 | 교환가치 |
결정 | 미래 현금흐름 | 수요와 공급 |
특징 | 주관적, 장기적 | 객관적, 단기적 |
관련 | - 투자 - 재무제표 분석 - Buy and Hold |
- 매매 - 기술적 분석(차트) - Buy and Sell Quickly |
가치평가
상대가치평가법
= 시장접근법 (Market Approach)
⇒ 유사한 상장회사의 주가나 유사한 기업의 주식거래를 참고하여 주식가치를 평가
- 유사 상장기업 주가비교법 (Market Comparable)
- 재무 상황과 영업환경이 유사한 다른 기업의 가격 정보를 이용(PER, PBR, EV/EBITDA 등)
- 유사 매각거래 비교법
절대가치평가법
= 이익접근법 (Income Approach)
⇒ 미래의 이익이나 현금흐름을 자본화하거나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주식가치를 평가
- 현금흐름할인법 (Discounted Cash Flow)
- 예상 현금흐름 및 가중평균자본비용(WACC) 추정을 통해 현금흐름을 할인하여 주가평가
- 비상장주식, 사업성 평가 등에 사용
- 배당할인모형
유사회사 선정
1. 산업 유사성
- 평가대상회사와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는 상장회사
- DART(전자공시시스템)의 표준산업분류상 유사회사 스크리닝
- 포탈사이트 등의 동일업종 스크리닝
2. 영업 유사성
- 영업적으로 유사한 회사 스크리닝
- DART(전자공시시스템)의 사업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주요 제품 및 상품의 매출 비중, 영업의 유사성 등을 기준으로하여 선정한다.
3. 재무 유사성
- 재무 상황이 크게 다른 기업 제외
- 손익계산서상 영업이익, 당기순이익 수현 여부, 부채비율, 자본잠식 상황 등
4. 기타 유사성
- 합병, 분할, 유상증자 등 경영상의 주요 변동사항이나, 비경상적 이슈가 있을 경우 제외
- 멀티플 산정 시 Outlier에 해당할 경우
상대가치평가
PER
Price / Earning
시가총액 / 당기순이익 또는 주가 / 주당순이익
-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력에 대한 시장평가, 성장성 등 반영
- 회계처리기준 다를 경우 비교가능성 저해, 비경상적인 경우 왜곡 가능성, 적자기업의 경우 사용 불가능
PBR
Price / Book value
시가총액 / 순자산 또는 주가 / 주당순자산
- 엄격한 회계기준일 경우 고정자산의 가치가 기업 실체의 가치를 잘 반영한다.
- 순자산 가치보다 무형의 가치가 더 중요할 경우 효용성 낮음
PSR
Price / Sales
시가총액 / 매출 또는 주가 / 주당매출액
- 성장성이 중요한 초기 기업의 평가시 주로 사용
- 매출액 단순 비교 시 수익성을 배제한 외형적 크기만 고려되어 왜곡 가능성 높음
EV/EBITDA
- EV (Enterprise Value)
- 기업의 총 가치로 기업매수자가 매수 시 지급해야하는 총 금액
- 주식가치(시가총액) + 순차입금(차입금 - 현금성자산)
- EBITDA (Earning Before Interset, Tax,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)
- 세전 영업 이익
-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능력을 타나낸다.
- 영업이익(손익계산서) + 감가상각비(주석, 현금흐름표)
- 유형자산이나 기계장치에 대한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이 많은 기업에 유리
'퀀트 > 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융 기본 지식 | 8. 채권, 채권 수익 (0) | 2023.03.01 |
---|---|
금융 기본 지식 | 7. 주식 절대가치평가법 : DCF (2) | 2023.02.28 |
금융 기본 지식 | 5. 재무비율 분석 (0) | 2023.02.21 |
금융 기본 지식 | 4. 재무제표 분석 (0) | 2023.02.20 |
금융 기본 지식 | 3. 산업의 이해 (0) | 2023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