확률 일상생활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의 가능성을 수리통계적으로 표현한 것. 고대부터 도박에서 시작된 많은 연구가 실제 확률론으로 자리 잡았다. 경우의 수 = 모든 가능성을 생각해보기 위해서 순열 순서(시간)를 반영한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다. 조합 순서(시간)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수(=패턴) 확률 전체 사건들 중 특정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 P(X) = X사건이 발생할 경우의 수 / 전체 사건이 발생할 경우의 수 (X : 확률 변수) 확률분포 각 사건에 대응되는 확률의 퍼진 정도를 일반화한 것 확률분포도 확률분포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히스토그램의 한 종류 ⇒ 과거 데이터에서 X가 어떤 값일 때의 확률값을 파악할 수 있고, 확률분포를 기반으로 미래 예측값의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.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