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지표 분석
기본 용어
- YoY (Year on Year) : 전년대비 증가율
- QoQ (Quarter on Quarter) : 전분기대비 증가율
- MoM (Month on Month) : 전월대비 증가율
- QoQ연율 : 전분기대비 증가율의 연환산
- YTD (Year to Date) : 연초대비 증가율
- Consensus : 주요 지표 발표 전 다양한 전문가 및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의견을 토대로 산출한 예측치.
- 시장의 기대(Consensus) 대비 실제치 수준이 중요하다.
- 기저효과 : 특정 시점의 경제상황을 평가할 때, 비교 기준으로 삼는 시점에 따라 경제상황을 달리 해석하게 되는 현상 (금융대위기, 코로나 등)
미국 경제지표 분석
GDP 성장률
- 매분기 발표 (속보치 → 수정치 → 확정치)
- QoQ연율로 해석
- GDPNow 에서 실시간 추정치 확인
물가지수 (CPI, PCE)
CPI
- 소비자 물가 지수
- 상품 가격 변화를 알 수 있다.
- 매월 발표
- YoY 및 MoM으로 해석
- 코어와 헤드라인 구분
PCE
- 개인 소비 지출
- 소비 품목 변화를 더 민감하게 반영
- 매월 발표
- YoY 및 MoM으로 해석
- 코어와 헤드라인 구분
Non-Farm Payroll (비농업부문 고용자수)
- 농업 근로자를 제외한 일자리 수를 알 수 있는 지표 (가계소득의 근원)
- 매월 발표
- Consensus와 전월대비증감을 비교하여 해석
실업률
- 경제활동 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(가계소득의 근원)
- 설문조사 ⇒ 신뢰성이 조금 떨어짐
- 매월 논팜 지표와 함께 발표
- Consensus와 비교하여 해석
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
- 한 주간 실업자의 증가를 보여주는 지표 (가계소득의 근원)
- 매주 발표 ⇒ 적시성 우수
- Consensus와 비교하여 해석
소매판매
- Retail Sales Index
- 미국 소비지출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(서비스 소비 제외)
- 소매업자에게 설문조사로 산출
- 매월 발표
- YoY 및 MoM으로 성장률 해석
PMI (ISM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)
- 공급관리자협회(ISM) 에서 정해놓은 기업 대상으로, 전월대비 신규주문량을 설문조사로 산출
- 매월 발표
- 0~100의 지수 와 Consensus 비교 , 전월과 비교
한국 경제지표 분석
GDP성장률
- 매분기 발표 (속보치 → 수정치 → 확정치)
- YoY 및 QoQ 로 해석
수출입동향
- 품목별, 국가별로 수출, 수입, 무역수지를 분석하여 발표
- 매월 발표 ⇒ 적시성 우수
- YoY로 해석
소비자물가동향
- inflation rate
- 소비자물가 동향 보고서를 통해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 발표
- 매월 발표 ⇒ 적시성 우수
- YoY 및 MoM 으로 해석
고용동향
- 고용률, 실업률, 신규취업자 수 등을 발표
- 매월 발표
- YoY, MoM 으로 해석
산업활동동향
- 생산동향 : 업종별 생산 지수
- 소비동향 : 소매판매 지수
- 투자동향 : 설비투자, 건설투자 등
- 경기동향 : 동행종합지수, 선행종합지수 등
- 매월 발표
경기선행지수 (Composite leading indicator)
- 향후 경제의 방향성을 예측, 전망하기 위해 경기의 선행성을 가진 지표들을 지수화 함.
- 매월 발표
- OECD에서 세계 각국의 경제지표를 바탕으로, 각국의 경기선행지수를 발표한다.
'퀀트 > 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융 기본 지식 | 4. 재무제표 분석 (0) | 2023.02.20 |
---|---|
금융 기본 지식 | 3. 산업의 이해 (0) | 2023.02.19 |
금융 기본 지식 | 1. 거시경제 환경 (0) | 2023.02.16 |
통계 | 4. 통계적 가설 검정 (0) | 2023.02.14 |
통계 | 3.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(0) | 2023.02.12 |